미국 중고등학교의 수학은 크게 Arithmetic (산수), Algebra (대수), Geometry (기하학), Trigonometry (삼각법), Calculus (미적분학) 으로 나누어 집니다. 세부적으로 나누어볼 때는 Algebra 전의 준비 단계로 Pre-Algebra, 그리고 Algebra 를 크게 나누어 Algebra I 및 Algebra II 가 있으며 Calculus 의 준비 단계인 Pre-Calculus 역시 수학 이수과정에 들어가게 됩니다.
사칙연산, 비율, 소수 및 퍼센트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Arithmetic의 경우 대부분 초등학교 레벨에서 다루어지며 7학년이 되는 중학교 1학년부터는 Pre-Algebra 또는 Algebra 를 접하게 됩니다. 특히 한국에서 이미 수학을 접한 한국 학생들의 경우 사칙연산을 주로 다루는 Arithmetic Math는 쉽게 느껴질 수 있어 진도가 빠른 경우 7학년 정도에 Pre-Algebra를 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수학의 수준이 보통인 학생이라면 7학년에 Arithmetic Math의 마지막 단계, 8학년에 Pre-Algebra (대수의 준비과정), 그리고 고등학교에 들어가는 9학년에 Algebra I (대수 I) 을 듣게 됩니다. 이 경우 1년에 수학과목을 두 개 이상 듣지 않는다고 가정할 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수학 Sequence는 아래와 같습니다.
Normal Sequence-
중학교 과정
7th grade : Arithmetic Math (7th grade level)
8th grade : Pre-Algebra (Regular or Honors)
고등학교 과정
9th grade : Algebra I (Regular or Honors)
10th grade : Geometry (Regular or Honors)
11th grade : Algebra II or Algebra II / Trigonometry (Regular or Honors)
12th grade : Trigonometry or Pre-Calculus (Regular or Honors)
한국에서 수학을 배운 대부분의 한국 학생들은 Pre-Algebra 를 7학년에 듣는 경우가 많아 위의 Sequence 보다는 한 단계 빠른 아래의 Step을 거치게 됩니다.
Fast Sequence-
중학교 과정
7th grade : Pre-Algebra (Regular or Honors)
8th grade : Algebra I (Regular or Honors)
고등학교 과정
9th grade : Geometry (Regular or Honors)
10th grade : Algebra II or Algebra II / Trigonometry (Regular or Honors)
11th grade : Trigonometry or Pre-Calculus (Regular or Honors)
12th grade : Calculus (Regular or AP)
이 Progress의 경우 10학년에 Algebra II 와 Trigonometry 과정을 합한 과정을 듣게 되면 11학년에 Pre-Calculus 를 듣고 12학년에 Calculus 를 들을 수 있습니다. Calculus 를 AP 과정으로 듣게 되면 매년 5월에 있는 AP Calculus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이 시험에서 3점 이상을 획득하게 되면 대학에서 듣는 Calculus 에 준하는 학점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.
수학에 뛰어난 진도가 가장 빠른 학생들의 경우 Algebra I 을 7학년에 듣고 대학 입학 전에 고등학교에서 Calculus 의 전체 단계를 마치는 다음과 같은 Sequence를 거칠 수 있습니다.
Fastest Sequence-
중학교 과정
7th grade : Algebra I (Regular or Honors)
8th grade : Geometry (Regular or Honors)
고등학교 과정
9th grade : Algebra II / Trigonometry (Regular or Honors)
10th grade : Pre-Calculus (Regular or Honors)
11th grade :
12th grade :
위의 가장 빠른 Sequence의 경우 12학년에 AP Calculus BC (미적분학의 적분 파트) 또는 AP Statistics (통계학) 을 들을 수 있으며 고등학교에서 선택 가능한 수학과목을 모두 듣는 것이 됩니다. 두 과목 중 어느 과목이 더 어렵다 하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대학 입학 이후를 생각할 때 이공계열 전공을 생각하는 학생이라면 Calculus BC 를, 문과계열 전공을 생각하는 학생이라면 Statistics 를 택하는 것이 대학 입학 후 전공 공부에 약간이나마 도움이 더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 12학년 수업 스케쥴의 여유가 있다면 두 과목을 같이 들을 수도 있습니다.
또한 7학년에 Algebra I 을 듣지 않았더라도 9학년 이후 일년에 수학과목을 두 개를 듣는 방법으로 Calculus 과정까지 마칠 수도 있습니다. 많은 한국 학부모 님들이 수학은 무조건 높은 과목을 들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이 방법을 쓰시기도 하는데요, 개인적으로 일년에 두 과목의 수학을 듣는 것은 그리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. 다른 과목과는 달리 기초부터 차근차근 쌓아나가야 하는 수학의 경우 일년에 두 과목- 예를 들어 Algebra I 과 Geometry- 를 같이 듣게 된다면 공부량은 둘째 치고라도 내용에 혼돈이 올 수 도 있고 준비가 덜 된 채로 다음 단계의 과목을 듣게 되는 일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 대학에서 볼 때 역시 일년에 두 과목의 수학을 듣는 것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권장하지를 않습니다. 결론적으로 본인의 레벨에 맞는 수학 과목을 7학년부터 차근차근 택하여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무조건 높은 레벨의 수학을 들어 Calculus 전 과정까지 마치는 것보다 낫다고 하겠습니다.